빅토리아 혁명
이것은 에딧으로 비교한 것이며, 원자재가 부족할 시에는 다른 결과가 나올수 있습니다.
기술수준은 25/25 경제/산업 정도이며, 철도레벨은 6이고 자본가가 6개 팝으로 있습니다.
레벨은 10으로 모두 동일합니다,
범선과 전차가 이익이 많이 난다. (하지만 필요원자재가 많으니 주의).. 그리고 현재 범선은 생산국이 별로 없어서 높게 나왔지만 1935년 이전에는 범선생산하는 곳이 많으니 수익이 줄어든다.
전차는 자동차를 쉽게 구할 수 있어야 소득을 올릴 수 있다.
시멘트,통조림이 원자재에 비해 높은 이익을 보인다. 쉽게 구할수 있는 원자재들
대포공장은 원자재만 받쳐준다면 고수익이다. 항공기 공장또한 마찬가지이다.
기계부품 (기계/전기)는 각각 강철/고무 문제만 해결한다면 높은 이익을 가져다 준다.
군수품공장에서 중요한 것은 유황이다.
모두 원자재가 중요한 공장들이다. 이중 차량과 폭약의 수익이 높다.
나머지는 원자재를 보면서 목화/양모가 많은 경우는 직물, 유황이 남으면 비료, 석유가 있으면 정제소가 좋다.
가구,제지소의 수익이 높다. (재목의 가격과 시장고려. 단 종이는 잘 팔리는 편)
나머지 유리,제재소의 경우는 보통이다.(제재소의 경우 원목이 넉넉하면 좋다.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증류주가 의외로 수익이 높다.
전화기 공장은 다소 까다롭다.(전기부품이 원자재라서.).. 유리공장이 적자는 내지 않지만 그다지 썩 좋은 편은 아니다.
양조장과 제철소는 그럭저럭 높은 수익을 보여준다. 나중에 제철소는 이벤트가 더 있으니 더 수익이 높아진다. 그리고 두 공장모두 원자재 구입이 쉬운편이다. 특히 제철소는 산업의 기반이므로 꼭 필요함
군수품과 비료공급이 잘 된다면 폭약공장은 고수익을 보장한다.
기선조선소는 꽤 높은 이익을 실현한다. 다만 비용이 많이 들고 철강공장을 지은후에 건설할 경우 효과가 배가된다.
기성복도 직물의 공급만 원할하면 안정된 수익을 보여준다.
고급옷/고급가구는 높은 수익원이다. 단, 열대나무/비단의 시장가격을 잘 보면서 하는 것이 좋다.
열대나무/비단 그리고 옷/가구가 넉넉히 공급된다면 고수익을 보장한다.
영예의 1위는 소화기 공장이다. 강철과 군수품만 잘 공급된다면 그 어떤 것도 따라잡을 수 없다.
다만 강철,군수품같은 원자재가 고급이라서 수량을 맞추기 힘들 뿐이다.
공장에 대한 비교 - 실험대상 /자유중국: 염료공장
맨 처음은 기술에 따른 수익비교이다.(1.2.3)
경제/산업 30/30 철도 레벨 6일 경우이다. 그리고 다음은 경제/산업 기술 25/25 ,, 20/20 이다.
기술에 따른 차이가 꽤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다음 철도레벨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3.4.5)
20/20 철도레벨 6에서 4로 내려가면서 비교하였다. 철도에 따른 차이는 매우 크다. 는 걸 알수 있다.
이제 공장레벨을 비교하겠다.(위5.1.2)
20/20 에서 레벨 5- 3으로 변화하였다. 공장레벨로 인한 변화도 매우 크다는 걸 알수 있다.
다음으로 이제 다시한번 철도레벨에 따른 비교를 하겠다.(2.3.4그림)
레벨3 20/20 철도레벨 4에서 5,6 으로 증가하였다.역시 차이가 잘 드러난다.
그런데 잘 보면 앞에 있는 것보다는 이익실현이 힘들다. 그것은 공장레벨이 높을 수록 연동되는 효과가 많아져서 보다 높은 이익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공장레벨이 낮다면 철도로 보는 이익도 상대적으로 적어진다는 것이다.
마지막은 기술을 25/25로 올려본 것이다.(5)
기술과 철도레벨보다도 공장레벨이 높은 것이 많은 이익을 줌을 알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본가 효과에 대한 비교를 하겠다.(1.2.3.4.5)
25/25 철도4 레벨5의 공장이다.
여기서 자본가 수를 점점 줄여본다. 8 - 5 - 3 - 1 -0
5개 이상의 자본가팝이 있으면 별 차이가 없지만 0-5개 사이에서는 차이가 드러나는 것을 알수 있다.
공장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높은 레벨의 공장이다.
그 다음이 인프라의 구축 즉, 철도이다.
기술은 철도기술을 제외한다면 철도보다는 효용이 떨어진다.
마지막으로 5개 정도의 자본가 팝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리고 제철소가 생각보다 이득이 크진 않지만 꽤 효율적이고 많이 쓰인다는 것을 알수 있다.
제철소는 공업화에 필수적인 요소인 셈이다.
고도 산업화 국가에서 가장 빛을 보는 공장들은 항공기/대포/차량/증기선/소화기이다.(철강이 기본원자재). 항공기,차량의 경우(중요 원자재중 또 하나는 기계부품정도)
고급가구/고급의류는 가구,열대나무/ 옷,비단이 넉넉하지 않으면 조금 곤란하지만 그것들이 있다면 역시 높은 이익을 남길수 있다. 하지만 소비재라서 돈으로는 별로 않 들어온다.
내부 소비용이라 볼 수 있다.
'게임후기 > 빅토리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토리아 : 네덜란드 초반전략 (0) | 2015.07.10 |
---|---|
빅토리아 : 러시아 초반전략 (0) | 2015.07.10 |
빅토리아 : 프로이센 독일 통일로 가는 길 (0) | 2015.07.10 |
빅토리아 : 프로이센 초반전략 2 (0) | 2015.07.10 |
빅토리아 : 프로이센 초반전략 (0) | 201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