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작전계획 : 슐리펜계획
독일 작전계획 원안 작성
1897 - 1905년 당시 독일 참모 총장 : 알프레트 폰 슐리펜
지상목표 : 러시아,프랑스와의 위험한 양면 전쟁의 상황에서 독일의 효과적 대처
원래의도 : 유사시 대비 사전계획 -> 독일군부의 착각 : 양면전쟁의 해결책
전제조건 : 러시아의 병력동원과 배치속도는 매우 느릴것(슐리펜의 예상은 6주)
대부분의 병력을 서부전선 집중후, 압도적이고 신속한 기동으로 프랑스를 패배 , 그후 동부전선으로 이동
문제점 : 프랑스 북동부 국경지대에 구축된 강력한 요새
해결책 : 마스트리히트 돌출부로 알려진 네덜란드 영토내 협로 통과 . 중립국 벨기에를 지나 프랑스 북서부를 공격
실질적 주력부대 : 메츠 ~ 네덜란드 5개군 총 35개군단. 전선의 최우익에는 이중에서도 최강의 정예부대 배치
핵심 : 최우익의 1개군을 북쪽으로부터 파리의 서쪽으로 진격시키면서 프랑스군의 후방 포위후 이들을 국경지대로 몰아가기
프랑스 로렌 진격 대비 : 독일 군 좌익 에는 그보다 약한 2개군 배치, 임무는 프랑스군의 진격저지. 필요시 후퇴
슈리펜의 뒤를 이은 독일 육군 참모총장 : 헬무트 폰 몰트게
1906 ~ 1914 슐리펜 계획의 핵심 사항 변경
몰트게의 약점 : 내성적 소심
-> 프랑스군이 로렌지방으로 올 경우 독일군 후방위협 우려
-> 1906년 이후 창설 신규사단들은 우익이 아니라 좌익에 배치
-> 원안의 독일군 우익대 좌익 전력비 7 :1 -> 몰트게 변경 3 : 1
- 네덜란드 기동계획 포기 . 벨기에 진공작전계획은 유지
-> 병력 배치 복잡화, 벨기에 중립침해에서 오는 불이익을 전혀 줄이지 못함(영국의 참전구실제공)
슐리펜 계획의 실현 가능성은 원안으로도 희박 . 하지만 몰트게는 더욱 줄임
원안의 문제점 : 긴 보급선과 나쁜 통신체계. 장거리 이동 병사들의 피로, 전투의 불확실성 고려 안함
벨기에군과 벨기에국민의 저항의지. 러시아의 병력 동원 속도도 오판
독일군
징병제
육군 평화시 84만. 유사시 400만 증강
17세 국민군소속 20세 현역입대. 2~3년 정규군사훈련 제대후 4~5년 동원 예비군 45세까지 향토예비군이나 국민군
1914년 여름 독일의 보병 전술 교리 : 밀집대형위주에서 산개대형위주로 넘어가는 과도기
프랑스군
징병제
1913년 의무병역제도
현역 3년, 예비역 14년
프랑스는 독일보다 인구가 적었음 . 전체남성인구 대비 군 병력 비율을 독일보다 더 높게 유지 해야 했음
개전당시 368만 투입. 동원가능 예비부대 수는 독일보다 적었음
프랑스의 군사교리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패배후 개혁 - 페르디낭 포슈 중령(나중에 원수)
육군대학 교수(1896~1901) 및 학장(1908~1911)
정신력우선주의, 공격제일주의
1908 ~ 1911 국방부 중요 작전 부장 : 포슈의 제자 루이 드 그랑메종
공격제일주의로 인해 직접화력 제공용인 75밀리 야전 속사포도입(동급 독일군 77밀리 포보다 우위)
하지만, 간접사격용 중포는 무시함(독일과 반대)
작전계획 17호
주도자 : 프랑스군 참모총장 유사시 총사령관 내정자 조세프 조프르 (1911년 참모총장이 됨)
공격제일주의 신봉
이전 계획 : 벨기에 국경지대 병력 집중 방어작전 -> 총 5개 야전군 동원 공격작전
5개 야전군중 우익인 제 1군과 제 2군은 유사시 즉각 로렌지역 진격(슐리펜이 원한것이기도 함)
중앙부 제 3군 티옹빌과 메츠 방면 진격
좌익 메지아르~ 몽메디 사이 제 5군은 유동적으로 제 3군 따라 진격 또는 룩셈부르크와 벨기에의 아르덴지역 돌파
제 4군 : 예비부대 필요시 좌익 중앙부 지원
약점 : 독일군 저력을 과소평가 -> 벨기에로 들어오는 독일군 규모 완전히 잘못 판단
벨기에 야전군
1913년 징병제 도입
실제 전쟁시 11만 7000동원
조직개편때문에 분열(개전당시)
영국
규모가 적음
모병제
영국 총병력 : 73만 3000명
(+ 자치령과 인도에서 병력지원이 가능하지만 수적-질적 측면에서 장담할수 없는 수준 )
영국 공세용 병력 : 영국원정군 6개보병사단 , 1개 기병사단 총병력 12만
국방의용군 1914년 당시 26만 9000명
영국은 유럽 장기간 주둔 개념 없었음
유일한 계획 : 프랑스애호가이자 포슈의 친구 군사작전부장 헬리 윌슨 준장의 1910년 작성계획
프랑스 좌익의 이르송- 모뵈주- 르카토 지역 배치
슐리펜계획
1913년 5월 승인된 후 1914년 5월프랑스육군 지위관들에게 하달된 작전계획
독일의 룩셈부르크 침공에 따라 1914년 8월 2일 수정된 작전계획 제 17호
알프스군은 오타 -> 알자스군
1914년 9월 5일 마른 강 퇴각 연합군 상황도
1914년 9월 5일 전선(단위는 군)
'자유공간 > 자유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5일까지 패러독스 배급사 세일이네요. (0) | 2015.10.03 |
---|---|
스팀라이브러리 2015년 8월 (0) | 2015.08.13 |
인도의 몰락과정과 영국의 지배방식 (0) | 2015.07.20 |
1919 ~ 1940 사이 힘의 분포 (0) | 2015.07.20 |
베트남,알제리는 어떻게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는가? (0) | 201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