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ies in Motion 시티즈 인 모션
팁/노하우
1. 경제
불황
장점 : 은행 금리가 낮습니다. -> 사업확장, 돈빌리기 용이
단점 : 티겟 가격을 낮춰야 합니다.
호황
장점 : 티켓 가격을 높일수 있습니다.
단점 : 은행 금리가 높습니다. -> 사업확장이 어렵습니다.
2. 교통 체증
교통체증의 증가요인 : 버스라인의 증가, 도로에 건설된 열차라인, 개인차량의 증가, 화재
교통체증과 관계가 적은 교통수단 : '오프로드'열차, 지하철, 수상버스, 헬리콥터
개인차량의 증가
3. 화난 승객
화난 승객도 교통수단을 계속 사용합니다. 다만, 회사의 명성이 떨어집니다.
초록->노랑->빨강으로 승객의 표정이 변하게 됩니다.
4. 화재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서가 도로를 폐쇄합니다.
그래서 교통 체증을 불러오게 됩니다.
화재의 발생
5. 차량유지보수
승객을 더 유치할 수 있게 합니다.
50% 유지보수비용은 1년기준으로 100 -> 89% 로 차량의 승객유인을 내려가게 합니다.
95% 유지보수비용은 1년기준으로 100 -> 93% 로 차량의 승객유인을 내려가게 합니다.
역의 유지보수비용은 25~35% 정도가 적정하다고 합니다. (패치에 따라 바뀔수 있음)
6. 직원 및 임금
운전자는 차량운전과 관련이 있습니다. 임금이 높으면 정류장 통과 속도가 상승합니다.
검표원은 티켓검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임금이 높으면 무임승차를 더욱 잘 방지합니다.
기술자는 차량유지보수와 관련있습니다. 임금이 높으면 차량의 유지가 좀 더 오래갑니다.
사무소 직원은 홍보, 회계, 서류처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임금이 높으면 처리능력이 올라 명성이 보다 잘 상승하게 됩니다.
7. 노선관리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예측이 힘듭니다.
버스 -> 열차 -> 지하철 순으로 가는게 좋습니다.
버스는 독자적인 수익 창출이 어려우니 시내 중심부로 열차/지하철 라인을 두고, 거기에 버스라인을 연결하는게 좋습니다.
버스는 짧은 노선과 시외노선이 좋습니다. 너무 많은 버스노선은 교통체증을 발생시킵니다.
열차는 '오프로드'라인이 좋습니다.
지하철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신중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불황을 기다렸다가 투자하는 것도 좋습니다.
L버튼을 누르면 라인정보가 나오게 됩니다.
위와 같이 티켓가격을 조정하면 됩니다.
버스/열차의 경우 6~8달러(패치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
지하철의 경우 10달러, 여유 있으면 15~20달러(패치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
차량은 시간이 지나면 노후화됩니다. 따라서, 판매하거나 새로운 모델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1~2 차량 운용시엔 수요와 이익에 따라 1차량씩 추가하시면 됩니다.
'게임공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루세이더 킹 2 : 상비군과 파벌 (0) | 2013.02.27 |
---|---|
Cities in Motion 지하선로 연결하기 (0) | 2012.11.26 |
Cities in Motion 입문 가이드 (1) 차량과 건설 (0) | 2012.09.20 |
크루세이더 킹 2 입문가이드 (3) 내정과 전쟁 (0) | 2012.09.01 |
크루세이더 킹 2 입문가이드 (2) 맵 옵션 (1) | 2012.09.01 |